치과계 통일준비…격차 줄이는 것부터
상태바
치과계 통일준비…격차 줄이는 것부터
  • 안은선 기자
  • 승인 2019.05.10 17: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DA 종합학술대회 ‘통일치의학’ 세션 개최…인도적 지원‧남북 치과분야 협력 전략 등 발표
통일치의학세션 발제자 및 참석자 일동

‘통일치의학’ 특별 세션이 제54차 대한치과의사협회 종합학술대회 첫 날인 오늘(10일) 코엑스 컨퍼런스룸 317호에서 진행됐다.

이번 특별 세션에서는 신경외과의사이자 재미한인의사협회(Korean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키 박(Kee B. Park) 북한프로그램 이사가 ‘Geopolitical Determinants of Health in North Korea'를 주제로, 서울대치의학대학원 통일치의학협력센터 이승표 교수가 ’하나되어 함께 하는 한반도 치의학의 발전‘을 주제로,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홍상영 사무국장이 ’남북치과분야 협력의 새로운 접근방향에 대해‘를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정치적 이해 넘어…대북 인도적 지원은 '옳은 일'

키 박 이사는 2007년부터 최근까지 총 20차례에 걸쳐 평양의대와 조선적십자병원을 방문해 북한 신경외과의사들과 협진을 했으며, 의학과학토론회에 참석하는 등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Kee B. Park 이사

특히 박 이사는 인도주의적 대북 지원을 방해해선 안된다는 UN의 권고를 무시한 미국 정부와 동포의 고통에 침묵하는 한국 정부, 민간차원의 교류를 방해하는 북한정부를 비판하면서 “의료인은 어디서든 사회 불의에 대항해야하며 그렇지 않으면 공범”이라며 깨끗한 물, 최소한의 식량, 필수의료 등 인도적 지원의 지속을 위해 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 인도지원과 관련한 2018년 UN 리포트』에 따르면, 북한의 인구는 2천5백만 명이며, 그중 빈곤‧기아 등으로 지원이 시급한 인구는 6백만으로 이들을 돕기 위해 필요한 기금은 1억1천1백만 달러(한화 약 1195억 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박 이사는 “유엔에서는 긴급한 인도주의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호소했지만, 미국의 정치적 압력으로 인해 러시아, 프랑스, 스웨덴에서 기부한 2천5백만 달러가 전부”라면서 “놀라운 것은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정부가 침묵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개도국에 결핵약을 지원하는 글로벌 펀드가 미국과 일본의 정치적 압력으로 인해 지난해 3월 결핵약 지원을 중단했는데, 결핵약이 부족해지면 광범위내성결핵이 많아지고 이를 치료하기 위해선 몇 배는 센 약물이 필요하다”면서 “북한의 결핵이 방치되면 가까운 중국과 한국의 국민들도 타격을 입을 것이 자명한데, 한국 정부는 남북관계 개선을 말하면서도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이 약해질 땐 침묵하며 동조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북한에 주는 지원금은 전부 군이나 간부가 빼돌린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데, 여러 정황증거로 추측컨대 다른 곳에 빼돌려진다 해도 전체 30%정도”라면서 “이런 지원마저 끊긴다면 북한의 여성, 어린이 등 수백만의 무고한 이들은 죽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그는 정치적 압력에 굴하지 않고 인도적 지원을 위한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이사는 “12년 간 교류하면서 의료기구나, 기술이전 등도 중요하다고 생각했지만, 계속 통로가 좁아지는 게 문제”라면서 “의사들은 순진해서 그런지 통로가 좁아지다 막히면 그만 둬버린다. 인도주의를 실천하는 사람이라면 겁이 없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통로가 좁아지지 않게 더 넓어질 수 있도록 방법을 계속 찾으며 정치권을 설득해야 한다”고 말했다.

치의학 교육 수준 격차 완화 우선돼야

이어 발제에 나선 이승표 교수는 북한과 의료수준이 비슷한 것으로 추정되는 미얀마와 라오스에서의 경험과 탈북주민, 탈북 치과의사와의 인터뷰 등을 근거로 정책을 제안했다.

그는 “탈북 치과의사에 따르면 커리큘럼은 갖춰져 있으나 기구와 재료 부족으로 임상 전단계 실습이 거의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면서 “북한 치과의사가 쓴 논문도 학부생에게 읽혀본 결과 용어의 차이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는 없을 정도였고, 한국 논문을 인용한 논문도 4건 정도 발견했다”고 짚었다.

또 이 교수는 고난의행군 이후의 북한 보건의료 서비스의 3대 원칙인 ▲무상의료 ▲예방의학 ▲의사담당 구역제도는 무너졌고, 여러 정황 증거로 평양과 지방 간의 구강건강 격차, 시설 격차 등을 들면서 이 격차를 줄이고 남북한이 함께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봤다.

이 교수는 2018년 기준 65세 이상 북한 인구수 290만 명 중 약 69만 명이 ▲치아우식 ▲치아 및 지지구조의 기타장애(임플란트 등) 치료를 받는다면 약 5천4백억 원 가량 소요될 것으로 예측하면서, 이러한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가장 기초가 되는 치의학 교육에서부터 남북한의 수준을 맞춰나가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렇게 10년이 쌓이면 몇 조가 쌓일 것인데, 이렇게 되기 전에 한국은 한국대로 준비해서 교류가 활성화 되면 북한 치과의사들도 임플란트를 심을 수 있도록 미리 교육센터를 만드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며 “북한 7개 치과대학에 50억 정도만 투자하면 재료와 기구를 공급할 수 있고, 한국 교육자들이 가서 교육도 함께 진행하면 가능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교수는 “치과는 의과보다 더 비정치적이고, 삶의 질 향상과 관련된 부분이며, 비용대비 효과가 큰 분야”라면서 “남북이 운명공동체로서 상생하기 위해선 상호교류를 통한 실태 조사와 필요를 확인하고, 이것을 우선 순위 단위로 정리해 남북한 주민의 구강건강 활성화를 위한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족의 상호이익 얻는 전략 세워야”

홍상영 사무국장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홍상영 사무국장은 남북한 민간교류의 경험을 토대로 ‘남북 치과분야의 협력방안’에 대해 제시했다.

그는 “협력사업에 대한 북측의 입장이 변화했는데, 과거의 일방적 수혜에 만족했다면 이제는 현재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사업이면서 후대에도 사용가능한 진일보한 협력사업을 원한다”면서 “남북협력은 지속가능하고 확대재생산이 가능한 방식으로 북측은 역량을 구축하고 남측에도 이익이되는 구조가 돼야 하며 이를 통해 남북 치과분야의 격차해소, 남북 주민 모두 건강한 삶을 추구할 수 있는 ‘민족공동의 이익’이어야 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 국장은 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회, 대한치과의사협회, 대한치과위생사협회, 대한치과기공사협회, 한국치과기재산업협회 등 범 치과계 조직인 ‘남국구강보건의료협의회(이하 남구협)’의 의의를 높이 사면서, ▲2005년~2006년 금강산 온정인민병원 치과진료소 시원사업 ▲2007년~2016년 개성공단 구강병원 지원 사업 ▲2006년 평양조선적십자병원 구강수술장 현대화 사업에서의 경험을 예로 들면서 남북 협력 추진 전략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그는 “남구협이 있었기 때문에 위 3가지 사업이 가능했다. 범 치과계가 협력해 일을 만들어가야만 통합적 접근이 가능하고 시너지효과와 성과를 낼 수 있었던 것”이라며 “다른 분야도 남구협을 롤모델로 경쟁관계가 아닌 연합으로 남북협력사업을 준비해야 한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그는 남북협력 추진전략 3단계를 들었다. 그 내용은 ▲파트너십 ▲사업장 거점 확보 ▲경헙과 연계 등이다. 이를 통해 한반도 주민의 치아건강을 증진하고, 지속적인 협력확대, 역량구축과 격차 해소를 통한 상호 이익을 얻는 선순환의 구조를 만드는 것.

홍 국장은 “북한은 분야와 지역에 따라 협력기구가 결정돼 있는데 민간교류는 오로지 민족화해협의회를 통해서만, 기업이라면 민족경제연합회를 통해서만 가능하며 각 기구간 소통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면서 “대신 민족화해협의회와 깊은 관계를 맺고 북측의 보건성, 조선의학협회, 치과병원으로 내용을 확장시켜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또 홍 국장은 “금강산 치과진료소 사업이 지속가능했던 것은 남측에서 병원을 개보수 해줬기 때문에, 그곳이 치의학 교류의 거점이 된 것”이라며 “민족화해협의회를 통해 류경치과병원이나 적십자병원을 핵심 거점으로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때 거점 대상이 북한 내 차지하는 위상을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그는 “민족화해협의회와 관계도 든든하고, 핵심거점을 확보했다면 공동‧상호 이익을 위해 그와 관련된 경협사업을 만들어야 한다”면서 “예를 들면, 남측 치과기자재업체도 함께 참여해 개성공단처럼 칫솔‧치약 공장을 짓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Tag
#N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